갑자사화,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윤씨의 복위 문제로 일어난 사화
갑자사화,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윤씨의 복위 문제로 일어난 사화
갑자사화 (甲子士禍)는 1504년(연산군 10년)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윤씨의 복위 문제로 인하여 일어난 사화이다. 폐비윤씨의 복위를 추진하려는 연산군의 정책에 사림파 관료들이 반대하는 과정에서 비롯되었으며 궁중파 임사홍 등이 부중파 훈구세력까지 일망타진하려 하면서 사태가 확대되었다. 이때 희생된 사람들은 중종반정 직후 대부분 복권된다.
배경
연산군의 어머니인 폐비윤씨는 폐출되었다가 1482년에 사사되었다. 임사홍이 연산군의 처남인 신수근과 의논하여 연산군에게 그 사실을 알리기로 합의하고 임사홍이 폐비윤씨와 관련된 사실을 연산군에게 보고했다. 하지만 연산군은 왕위에 오르기 전부터, 어머니의 죽음에 대해서 알고 있었기 때문에 폐비윤씨의 죽음이 갑자사화의 계기 및 명분은 될지언정 직접적 원인은 아니다. 그렇지만 연산군이 왕이 되기 전부터 어머니를 죽게 만든 자들에게 복수하기 위해서 마음 속으로 칼을 갈고 있다가 기회가 와서 사화를 일으켰을 가능성이 있기에 연산군의 어머니가 사사된 것이 원인이 아니라고 할 수도 없다.
경과
연산군은, 아버지인 성종의 총애를 받았으며 어머니의 폐위에 영향을 주었던 엄귀인과 정귀인 등을 죽이고, 그들의 소생도 귀양 보냈다가 죽였다.
조모 인수대비는 연산군의 행위를 꾸짖다가 화병으로 죽었다. 연산군이 윤씨를 왕비로 추숭(追崇)하여 성종묘에 배사(配祀)코자 할 때 반대한, 응교(應敎) 권달수(權達手)는 처형되었고,이행은 귀양을 갔다.
성종이 윤씨를 폐출하려 할 때 찬성했던윤필상, 이극균, 김굉필, 이세좌, 성준, 권주(權住),이주(李胄) 등 10여 명을 처형했고, 이미 사망한 남효온, 한명회, 정창손, 정여창, 한치형, 어세겸(魚世謙), 심회, 이파(李坡) 등은 부관참시에 처했으며, 그 제자와 가족들도 처벌하였다. 한편, 세자 시절 갈등을 빚기도 했던 문신이자 그의 스승이기도한 조지서 역시 주살하기도 했다.
당시 시신은 부관참시, 쇄골표풍, 능지처참 등 참혹한 형벌들이 연일 진행되었다. 이 참화는 갑자년에 일어났으며, 뒤이어 언문학대(言文虐待)까지 하게 되어 국문학 발달도 침체 상태에 빠졌다.
☞ 이전글
[역사 이야기] - 소현세자 의문의 죽음, 과연 용연석을 맞고 죽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