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와 벌, 심리적 압박감과 죄책감을 날카롭게 묘사 :: 예술의 정원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죄와 벌, 심리적 압박감과 죄책감을 날카롭게 묘사
    책 이야기 2017. 6. 4. 04:18

     

     

    죄와 벌, 심리적 압박감과 죄책감을 날카롭게 묘사

     

    죄와 벌》은 러시아 제국의 작가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장편소설로, 1866년 1월부터 12월까지 러시아 통보지에 연재되었고, 1867년에 단행본으로 초판이 출판되었다. 가난에 찌든 대학생이 초인 사상에 빠져 살인을 저지르고 그 후에 겪게 되는 심리적 압박감과 죄책감을 날카롭게 묘사하고 있고 그 후 매춘부를 통해 알게 되는 깨달음으로 그 당시 인간의 내면을 비판,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죄와 벌'은 도스토옙스키의 최고로 꼽히는 명작이다.

     

    줄거리

    주인공인 라스콜리코프(Raskolnikov)는 서구적인 합리주의자·무신론자이다. 빈곤에 허덕이고 고독에 짓눌린 그는 한결같이 추상적 사색에 몰두한다. 그의 예리한 지성은 이 고독의 사색에서 전인미답의 독창적 이론-초인사상-을 체계화시킨다. 그의 이론에 의하면 인류는 '나폴레옹'과 '이(蝨)'로 분류된다. 즉 선악을 초월하고 나아가서 스스로가 바로 법률이나 다름없는 비범하고 강력한 소수인간과 인습적 도덕에 얽매이는 약하고 평범한 다수인간으로 분류한다. 그는 자신이 전자에 속하는 것으로 확신하고 그것을 입증하기 위해 한 마리의 이에 불과한 무자비한 고리대금업자인 노파를 죽인다. 그리고 또한 그 장면을 목격한 여동생, 리자베타도 같이 죽이게 된다. 살인을 저지르고 난 라스콜니코프는 전에 가지고 있었던, 자신이 나폴레옹이 되어 다수에게 행복을 주겠다는 사상은 뒤로 미뤄둔 체 죄도 없는 리자베타를 죽인 양심에 대해서, 자신을 잡으려는 사회에 대해서 두려움을 갖게 된다. 그러다 이를 죽여 나폴레옹이 되고자 했던 자신과는 달리 자신을 죽여 생계를 유지하는 매춘부 소냐를 본 라스콜니코프는 자신이 그릇되었음을 깨닫고 소냐에게 자신의 죄를 솔직하게 고하게 된다. 소냐는 네거리 광장으로 나가 자신이 더럽힌 땅에 키스를 하고 사람들에게 자신이 노파를 죽였다고 알리라고 하고 그에 라스콜니코프는 즉각적으로 수용하게 된다. 소냐는 작자가 이상으로 여긴 복음서적인 사랑과 인종의 사도이며 무신론자 라스콜니코프에 대립되는 구원의 담당자로 묘사되고 있다. 에필로그에서 그녀의 감화에 의한 주인공의 종교적 갱생과 정신적 부활이 그려지고 있다. 합리적 원리와 비합리적인 원리와의 해결하기 어려운 모순에 직면한 주인공의 심각한 고민은 투철한 심리분석과 극적인 박진력으로 훌륭히 묘사되고 있다.

     

    죄와벌 이외의 작품

    가난한 사람들, 1846

    분신, 1846

    네또츠까 네즈바노바, 1849

    아저씨의 꿈, 1859

    스쩨빤치꼬보 마을 사람들, 1859

    상처받은 사람들, 1861 (다른 번역 제목 : 학대받은 사람들)

    죽음의 집의 기록, 1862

    지하로부터의 수기, 1864 (다른 번역 제목 : 지하생활자의 수기)

    죄와 벌, 1866

    노름꾼, 1867 (다른 번역 제목 : 도박사)

    백치, 1869

    영원한 남편, 1870

    악령, 1872

    미성년, 1875

    까라마조프 씨네 형제들, 1880 (다른 번역 제목 : 까라마조프가의 형제들)

     

     

    ☞ 연관글

    [인물 이야기] - 도스토옙스키, 실존주의 사상, 인간 심리에 대한 이해력

     

    댓글

Designed by Tistory.